진정한 여행의 시작

기쁨은 사물 안에 있지 않다. 그것은 우리 안에 있다!

金剛山도 息後景 - 풀잎처럼 눕자

읽어보아요/부담없는 글

[스크랩] [명상음악] 매화

서까래 2010. 3. 27. 21:10

 

 

 

 

 

 

[명상음악] 매화

 

                     
                    
                    ♧ 이퇴계와 두향의 이야기 ♧
 
                    퇴계(退溪) 이황(李滉)선생은매화(梅花)를 끔찍이도 사랑했다.
                    그래서 매화를 노래한 시가 1백수가 넘는다.
                    이렇게 놀랄 만큼 큰 집념으로 매화를 사랑한데는 이유가 있었다.
                    바로 단양군수 시절에 만났던 관기(官妓) 두향(杜香) 때문이었다.  
 
                    퇴계 선생이 단양군수로 부임한 것은 48세 때였다.
                    그리고 두향의 나이는 18세였다.
                    두향은 첫눈에 퇴계 선생에게 반했지만
                    처신이 풀 먹인 안동포처럼 빳빳했던 퇴계선생이었던 지라
                    한동안은 두향의 애간장을 녹였었다.
 
                    그러나 당시 부인과 아들을 잇달아 잃었던 퇴계 선생은
                    그 빈 가슴에 한 떨기 설중매(雪中梅) 같았던두향을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었다.
 
                    두향은 시(詩)와 서(書)와 가야금에 능했고
                    특히 매화를 좋아했다.
                    두 사람의 깊은 사랑은 그러나 겨우 9개월 만에 끝나게 되었다.
                    두향으로서는 하늘이 무너지는 듯한 변고였다.
              
                    짧은 인연 뒤에 찾아온 갑작스런 이별은
                    두향이에겐 견딜 수 없는 충격이었다.  
                    이별을 앞둔 마지막 날 밤, 밤은 깊었으나 
                    두 사람은 말이 없었다
 
                    퇴계가 무겁게 입을 열었다.
                    "내일이면 떠난다. 기약이 없으니 두려움 뿐이다."
                    두향이가 말없이 먹을 갈고 붓을 들었다.
                    그리고는 시 한 수를 썼다.
 
                    "이별이 하도 설워 잔 들고 슬피 울 제
                    어느 듯 술 다 하고 님 마저 가는 구나.
                    꽃 지고 새 우는 봄날을 어이할까 하노라"
 
                    이날 밤의 이별은 결국 너무나 긴 이별로 이어졌다.
                    두 사람은 1570년 퇴계 선생이 6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 21년 동안 한 번도 만나지 않았다.
 
                    퇴계 선생이 단양을 떠날 때 그의 짐 속엔      
                    두향이가 준 수석 2개와 매화 화분 하나가 있었다.          
                    이때부터 퇴계 선생은 평생을
                    이 매화를 가까이 두고 사랑을 쏟았다.
                  
                    퇴계 선생은 두향을 가까이 하지 않았지만
                    매화를 두향을 보듯 애지중지했다.
                    선생이 나이가 들어 모습이 초췌해지자
                    매화에게 그 모습을 보일 수 없다면서                
                    매화 화분을 다른 방으로 옮기라고 했다.  
 
                    퇴계 선생을 떠나보낸 뒤
                    두향은 간곡한 청으로 관기에서 빠져나와
                    퇴계 선생과 자주 갔었던 남한강가에 움막을 치고
                    평생 선생을 그리며 살았다.  
 
                    퇴계 선생은 그 뒤 부제학, 공조판서, 예조판서 등을 역임했고
                    말년엔 안동에 은거했다.
                    그리고 세상을 떠날 때 퇴계 선생의 마지막 한 마디는 이것이었다.
       
                    "매화에 물을 주어라"
                    선생의 그 말속에는 선생의 가슴에도
                    두향이가 가득했다는 증거였다.
 
                    "내 전생은 밝은 달이었지. 몇 생애나 닦아야 매화가 될까"         
                    (前身應是明月幾生修到梅花)
                    퇴계 선생의 시 한 편이다.
 
                    퇴계 선생의 부음을 들은 두향은 
                    4일간을 걸어서 안동을 찾았다.
                    한 사람이 죽어서야 두 사람은 만날 수 있었다.
                    다시 단양으로 돌아온 두향은
                    결국 남한강에 몸을 던져 생을 마감했다.
 
                    두향의 사랑은 한 사람을 향한 지극히 절박하고 준엄한 사랑이었다. 
                    그 때 두향이가 퇴계 선생에게 주었던 매화는그 대(代)를 잇고 이어
                    지금 안동의 도산서원 입구에 그대로 피고 있다.
 

 

 


                   
                   
                        덩 더궁

 

 

출처 : 좋은글과 좋은음악이 있는곳
글쓴이 : 덩 더궁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