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한 여행의 시작

기쁨은 사물 안에 있지 않다. 그것은 우리 안에 있다!

金剛山도 息後景 - 풀잎처럼 눕자

카톡카톡/2014 보낸카톡

141008/국화 옆에서 /서정주

서까래 2016. 4. 28. 17:03

국화 옆에서 /서정주

 

한 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봄부터 소쩍새는

그렇게 울었나 보다.

 

한 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천둥은 먹구름 속에서

또 그렇게 울었나 보다.

 

그립고 아쉬움에 가슴 조이던

먼 젊음의 뒤안길에서

인제는 돌아와 거울 앞에 선

내 누님같이 생긴 꽃이여.

 

노란 네 꽃잎이 피려고

간밤엔 무서리가 저리 내리고

내게는 잠도 오지 않았나 보다

 

..............

오늘이 국화꽃 향기가 그윽히 풍기는 한로라고 해서,

가을의 대표시라고 할 수 있는 미당의 시 한수 올려봤습니다.

 

오늘이 한로(寒露)라고 하는데,

24절기 가운데 17번째 절기로 찬이슬이 맺히기 시작하는 시기라는 뜻의 절기입니다.

한로는 양력 108~9일 무렵이 입기일이며, 음력으로는 9월의 절기입니다.

 

한로에는 공기가 차츰 선선해짐에 따라 이슬이 찬 공기를 만나 서리로 변하기 직전의

시기입니다.

 

한로 즈음은 찬이슬이 맺힐 시기여서 기온이 내려갑니다.

농촌은 기온이 더 내려가기 전에 추수를 끝내야 하므로 오곡백과를 수확하기 위해 타작이

한창인 때입니다.

 

한로는 여름철의 꽃보다 아름다운 가을 단풍이 짙어지고, 제비 같은 여름새와 기러기 같은

겨울새가 교체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한로는 중양절과 비슷한 시기에 드는 때가 많아서 중양절 풍속인 머리에 수유를 꽂거나,

높은 데 올라가 고향을 바라본다든지 하는 내용이 한시에 자주 나타났습니다.

높은 산에 올라가 머리에 수유를 꽂으면 잡귀를 쫓을 수 있다고 믿는데, 이는 수유열매가

붉은 자줏빛이기 때문에 벽사력을 가지고 있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전통 농경사회에서 자연 현상에 의한 기후의 변화는 매년 농사에 매우 중요했기 때문에

정확해야 했습니다.

그래서 태양력을 이용한 이른바 24절기가 활용되었습니다.

음력이 윤달을 두어서 한 달식 날짜가 밀릴 수 있다는 점에 비해, 24절기는 계절의 추이

를 정확히 알 수 있게 합니다.

 

24절기를 많이 사용하였던 우리의 재래 역법은 순수한 음력이 아니라 태음태양력입니다.

한로는 입추, 처서, 백로, 추분, 상강과 함께 가을 절기에 해당되며, 세시명절이라기보다는

기후의 변화를 읽는 절기로 유용했습니다.

 

옛 중국에서는 한로 15일간을 5일씩 끊어서 3(三候)로 나눠서, 기러기가 초대를 받은 듯

모여들고, 참새가 줄고 조개가 나돌며, 국화가 노랗게 핀다고 하였습니다.

 

이 시기에 한국에서는 국화전을 지지고 국화술을 담그는 풍습이 있습니다.

국화전과 국화술의 풍습만으로도 한로가 가을절기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올해는 한로가 108일에 들어있는데요.

 

한로가 지나면 찬 이슬이 맺혀 더 쌀쌀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한로에는 추어탕을 먹는 풍습이 있다고 하는데요.

추어탕 드시고 가을철 몸 관리 잘 하셔서 건강한 가을 나시길 바랍니다.

 

차중락의 낙엽따라 가버린 사랑

http://www.youtube.com/watch?v=a1Cza3c9Z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