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한 여행의 시작

기쁨은 사물 안에 있지 않다. 그것은 우리 안에 있다!

金剛山도 息後景 - 풀잎처럼 눕자

읽어보아요/책, 이야기

[스크랩] (2010년 1월 26일) 카뮈의 시대?: "겸손한 반항"의 오만을 넘어서 (수정본)

서까래 2010. 2. 4. 00:23
1.
지금으로부터50년 전인 1960년 1월 4일, 파리 근교에서 한 대의 자동차가 나무를 들이받는다. 차 안에 탑승했던 두 명의 남성은 즉사.  전후 프랑스 문단의 총아이자 도발적인 에세이스트로 한 시대를 풍미했던 “지상의 작가” 알베르 카뮈가 노벨상을 받은지 3년도 안돼 죽음에 이른, 아니 “신화”로 부활한 역사적 순간이다.



그렇게 50년을 거의 채운 지난 연말 우리나라 대부분의 일간지 문학란을 장식했던 김화영 교수의 카뮈 전집 완역 소식은 카뮈의 50주기를 예고하는 ‘글로벌’한 축포의 하나로 손색이 없었다. 하지만 정작 프랑스에서 울려퍼진 팡파르는 찌그러진 파열음으로 아직까지도 듣는 이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만들고 있다.

          모든 건 지난해 11월 19일, 브뤼셀에서 열린 유럽 평의회에서 보도된 프랑스 대통령 사르코지의 제안에서 시작됐다. 카뮈를 팡테옹에 이장하자는 아이디어를 꺼내면서 사르코지는 "엘리트들에 대한 그[카뮈]의 비순응주의"를 치켜세우고 "알제리를 방문할 때마다 북아프리카에서 태어나지 못한 데 대한 노스텔지어"를 느낀다고 말하며 자신의 제안이 성사되면 참으로 “대단한 상징”이 될 것이라고 열변을 토했다.



그런데 왜 하필 카뮈였을까?

일단 새롭게 사귄 친구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 주인공이 아랍인을 별 다른 이유없이 쏴죽이는 카뮈의 <이방인>이 "아주 재미있고 속도감있다"고 기자들에게 떠벌이다, 얼마 못가 "끝까지 읽을 계획은 없다"고 꼬리를 내렸던, 이라크전 책임자였던 조지 부시 전 대통령이 영감을 제공했다는 것.




믿거나 말거나, 어찌됐건 닭 모가지를 비틀어도 어차피 2010년은 카뮈의 50주기가 될 상황이었고, 현저하게 떨어진 지지율 속에서 일종의 돌파구를 찾으려는 이 정치적 몸부림 덕분에 카뮈에 대한 관심은 다시 전국민적인 것이 되었다. (물론 프랑스에서 카뮈는 이미 전국민적인 작가이다. 전세계 56개국 언어로 번역되었고, 해마다 프랑스에서만 여전히 18만부가 판매되는 그의 대표작 <이방인L’Etranger>은 1972년 갈리마르의 문고판(Folio)으로 출간된 이래 무려 6백6십만부가 팔려나간 프랑스 문고판 최고의 베스트 셀러이며 <페스트Le Peste>와 <전락La Chute> 역시 각각 3백 6십만, 백5십만부가 팔려나간 상태이다)  


물론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것이지만, 사르코지의 제안은 각계의 반대에 부딪혔다. 사르트르와의 유명한 논쟁이 웅변하듯 좌와 우를 가로지르는 모든 이데올로기에 저항, 아니 “반항”했던 카뮈의 근본적 반골기질을 조금이라도 알고 있는 사람이라면 그런 제안을 할리가 없지 않은가?” 물론 이런 반문은 정당한 것이지만, 그만큼 순진한 것이기도 하다. 그런 정도의 반문에 쉽게 철회할 요량이었다면 “그런 제안을 할리가 없지 않은가?”? 사태의 본질은 따라서 다른 데에서 찾아야 한다.



2.

단도직입적으로 말해 사르코지를 적당히 냉소하면서 카뮈를 적극적으로 옹호하는 일군의 프랑스-와 몇몇 영미권- 지식인들과 그들의 다양한 글을 읽을 때 우리가 확인하게 되는 건, 오히려 카뮈에 대한 사르코지의 선택이 참으로 적절한 것이라는, 아니 좀 과장해서- 한물간 표현을 빌어- 얘기하자면, 시대정신(Zeitgeist)의 핵심을 포착했다는 판단이다.


공산주의자도 사회주의자도 아니었지만 카뮈는 천성적으로 좌익이었다는 상식적인 주장은 차치하고서라도, 그가 니체주의자이자 동시에 어떤 정치적 대의에도 회수되지 않는 절대적 자유주의=무정부주의자라는 주장(미셸 옹프레이)이나, 카뮈의 무정부주의적-생디칼리즘은 기독교적 차원의 프롤레타리아 개념을 핵심으로 갖는다는 독특한 주장(쟝 다니엘)에 이르기까지 논거는 천차만별이지만, 그들 대부분은 카뮈가- 콜럼비아대 교수로 있는 슐레이만 바쉬르 디아뉴의 말을 빌면- “이 시대의 철학자”-“중 하나”가 아니라 말 그대로 “이 시대의 철학자”-라는 판단에 동의한다. 다시 말해, 의도와 논거, 접근방향만 다를 뿐, 사르코지와 그의 비판자들은 카뮈가 갖는 상징적 무게, 무엇보다 그의 시의성에 전적으로 동의하고 있는 것이다.




아무리 그렇다 해도, 카뮈가 “이 시대의 철학자”라고? “언젠가는 들뢰즈의 세기가 될 것”이라는 푸꼬의 예언 아닌 예언이야 그렇다 치더라도, 바디우도, 랑시에르도, 아감벤도, 지젝도 아닌, (겨우?!) 카뮈가?



쟝-프랑스와 마떼이 같은 “철학자”에 의하면 그리 말이 안되는 얘기는 아니다. 물론 그 역시 카뮈의 “철학”이 개념적 차원에서 경쟁력이 탁월하다고 주장하지는 않지만 카뮈가 중요한 철학적 질문들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그것도 아주 잘 제시했다는 것은 인정해야 한다는 게 마떼이의 판단이다. 이는 카뮈가 제시한 질문들이 진정 본질적이라는 뜻일까?

그렇게 생각하기 쉽지만, 그보다는 그가 제기했던 질문들이 우리 시대와 다시금 공명한 결과라고 보는 게 더 정확할 것이다. 우리는 알-카에다와 오사마 빈 라덴의 위협 속에서 “테러리즘에 대한 성찰”과 <반항하는 인간>을 다시 읽고, 잘되거나 안되거나 모든 책임이 전적으로 자기만의 것이 된 신자유주의의 폭풍과 그와 더불어 솟아오르는 자살률 속에서 “진정으로 심각한 철학적 문제는 자살”이라는 그의 명제를 진지하게 곱씹을 수 있게 된 것이다.     

하지만 이보다 근본적으로, 카뮈를- 아이러니칼한 의미에서- 진정 “이 시대의 철학자”로 만드는 열쇠는 내가 보기에 "절제된/절도 있는 반항(une révolte mesurée)"이라는 개념에 있다. <누벨 옵세르바퇴르>지의 창간인이자 현 편집장인 장 다니엘은 체코나 폴란드와 같은 동구권 지식인들이 지금 카뮈에 관심을 기울이는 이유를 그들이 공산주의 “혁명의 공포”를 경험했다는 데에서 찾는데, 이는 그의 의도와 무관하게 매우 징후적인 관찰이 아닐 수 없다. 반항하되 선을 넘지 말라는 것, 다시 말해 혁명은 안된다는 것. 한 쪽으로 쏠린 혁명은-그것이 좌이건 우이건- 반항이 아니라는 것이 카뮈가 정의한 “반항” 개념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말하면 너무 싱거워보일지 모르니, 다른 예를 들어보자.      




작년 12월 중순 <누벨 옵세르바퇴르>지는 우리나라에도 잘 알려진 급진 철학자 알랭 바디우와 에세이스트인 알렝 핑키엘크로트를 일대일로 대면시켜 논쟁을 붙였다. 둘을 한자리로 불러모은 건 사르코지가 카뮈 이장안을 발표한지 일주일도 안되어 내놓았던 “프랑스 국민의 정체성”에 대한 국민토의였는데, 둘은 결국 사르코지에 대한 비판의 수위를 두고 팽팽하게 맞섰다. 먼저, 이미 사르코지를- 우리로 치면 식민지 시대의 친일파에 해당하는- 비시정부의 수장 페뗑(Petain)에 비유한 바 있는 바디우는 사르코지의 제안이 궁극적으로 파시스트적인 것이라고 몰아붙인다.


 


“정체성에 대한 고려가 정치와 국가권력 속에 투입되자마자, 우리는 네오-파시스트라고 불러야만 할 논리 속에 들어가게 됩니다. 국민 정체성에 대한 정의는 작금의 세계에서 모든 국민은 섞여있고, 이종적이며, 다양한 형태를 갖는다는 것과 부딪치기 때문에, 이러한 동일시의 유일한 현실은 부정적입니다. 그게 뭘 의미하는지 저는 별 관심이 없습니다만, 사람들은 "프랑스 문명"이란게 어떤 것인지를 분별하지 못할 것이고, [대신] 프랑스적이지 않은 사람들만을 명백하게 짚어내게 될 겁니다.”



이에 대해 이렇다할 반론을 제기하지 못하던 핑키엘크로트가 나름 선전을 하는 것으로 보이는 지점에서 불러들이는 인물이 있으니, 그게 바로 카뮈다. 바디우의 입장을 “모욕”과 “증오”에 집착하는 “전쟁”의 논리로- 궁극적으로는 사르트르로- 환원시키면서 핑키엘크로트는 자신을 보다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비판”의 자리에, 즉 카뮈 옆에 위치지운다. 



“저희 둘 사이에 진정한 간극이 있다면 그건 아마도 증오(la haine)라는 문제와 관련해서 일겁니다. 1945년의 한 회의에서 프랑스 인들의 우정에 대해 말하면서 까뮈는 나찌즘은 프랑스인들을 증오로 몰아넣었지만, 지금은 이 증오를 극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즉 나찌즘에 대한] 비판(la critique)이 [그들에 대한] 모욕(l'insulte)에 휘말리지 않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이를 그는 우리의 정치적 정신을 다시 만드는 것(refaire notre mentalite politique)이라고 불렀죠. 싸르트르는 정반대의 결정을 내렸습니다. 정치를 절대적인 전쟁(la guerre absolue)의 연장으로 만듦으로서 레지스탕스의 예외적인 상황을 연장하려 했던 그는 그래서 다음과 같이 썼죠. "자기 눈으로 확인해 얻을 수 있는 모든 가치를, 억눌린자는 그가 다른 이들에게 돌리는 증오 속에 집어넣는다." 요즘도 까뮈는 유명합니다만, 모든 걸 가져간 최종 승자는 싸르트르입니다. 히틀러로의 환원(reductio ad hitlerum)은 풀 스피드로 작동하고 있습니다.”   


우리에게 보다 익숙한- 그 자체로 매우 흥미로운 이론적 “잡종”이자 이 퇴행적인 시대의 대표적인 이론적 “징후”인- “일상적 파시즘” 혹은 “대중독재론”의 논리로 풀어쓰자면, 전선은 다면화되었다는 것이다. ‘권력’은 ‘미시화’되었고, ‘정치’는 ‘정치적인 것’으로 확장되었다. ‘파시즘’은 ‘일상’에서 작동하며 ‘물신화’할 수 있는 고정된 ‘악’은 사라졌다는 것이다. 이러한 핑키엘크로트- 혹은 임지현-의 논리에 따르면 바디우가 불러들이는 싸르트르적 (혹은 슈미트적!) “전쟁“ 프레임의 수혜자는 오히려 바디우 자신이 된다. 모든 악이 사르코지에게 집중되고 단순화될 때 바디우는 레지스탕스의- 영예로운!- 역할을 부여받기 때문이다. (“사르코지가 페뗑이면, 당신은 레지스탕스가 됩니다. 당신과 당신의 비호 아래에서 완전히 과대망상증에 걸린 좌파 지식인들에게 역사 타령 제발 그만두라고 부탁드립니다. 사르코지는 우두머리가 아니라 하나의 [정치적] 타겟에 불과해요. 공화국의 대통령을 모욕하는 건 인터넷과 매체에서 가장 군중적인 최신 운동이 됐죠. 정치권력이 강력할 때는 아부의 순응주의가, 오늘날처럼 약할 때는 풍자의 순응주의가 작동합니다.”)





참으로 그럴듯하지 않은가? 이러한 논리를 가장 압축적으로 보여준 것은 지난 해 말 <교수신문>에 실린 소조님의 글인데, 거기서 용산참사를 계기로 문인들이 표명했던- 매체 전반에 걸쳐 소리 없이 뮤트된- 저항과 이명박(정부)에 대한 비판은 “페티시즘” 즉 “물신주의”에 불과한 것으로 단칼에 일축되었다. 이를 우리에게 좀 더 익숙한 말로 풀어쓰자면, “우리 안의 파시즘”을 보지 않고, “우리 안의 이명박”을 정화하지 않고서 선과 악을 분명하게 나누려는 기도야 말로 진정한, 혹은 우둔한 정치적 음모라는 것이다. ([사르코지 정부를 일컬어] “잔인한 과두제(une oligarchie feroce)”라고 말씀하셨습니다만, [그렇다면] 누진소득세를 집행하는 사람들은 누구고, 가장 부유한 사람들에게 자기가 버는 소득의 절반을 내도록 만드는 사람들은 누구란 말입니까?”)





바디우의 진면목은 이렇게 코너에 몰린듯한 상황에서 핑키엘크로트가 전제하는 대상, 즉 누진세와 과세라는 제도 자체가 공무원들에게 그냥 주어진 것이고, 공무원들은 국민들을 위해 그저 선량하게 봉사할 뿐이라는 관념을 밑바닥에서부터 뒤집을 때, 즉 그것이 모두 “투쟁”에 의해 “쟁취”된 산물이라는 사실을 다음과 같이 적시할 때 오롯이 드러난다.



“세금과...분노한 대중봉기가 강요한 누진소득세를 언급하셨군요! 그 세금을 [부자들에게] 부과하려고 싸운 사람들은 [그들의] 적과 싸운 겁니다. 적이라는 범주를 제거할 수는 없습니다. 그럴 수 없죠. 그렇게 해서 적까지 속일 수는 없습니다. 적은 방리외의 젊은이들이 아니라 사르코지와 그의 공범자들입니다.”

 

더 덧붙일 얘기가 많으나 얘기가 좀 길어졌으니 여기서 멈추지만, 이 정도면 우리가 위에서 “절제된 반항”이란 카뮈의 개념에 대해 표명했던 의심이 어떤 근거를 갖는 것인지가 충분히 드러났을 것이다. 한 마디로 말해 그 개념은 우리가, 아니 "우리"의 이름을 걸지 않고 “단독적인” 개인들의 ‘플래쉬 몹’으로 다다를 수 있는 저항, 혹은 "반항"의 최대치인 것이다. 그 임계점에 쓰여진 이름, 그것이 바로 카뮈라는 것. 반항할 것, 하지만 혼자서. 반항할 것, 그러나 혁명 없이..


http://www.youtube.com/watch?v=NhbK2bMTRbI


<object width="445" height="364"><param name="movie" value="http://www.youtube.com/v/NhbK2bMTRbI&hl=ko_KR&fs=1&border=1"></param><param name="allowFullScreen" value="true"></param><param name="allowscriptaccess" value="always"></param><embed src="http://www.youtube.com/v/NhbK2bMTRbI&hl=ko_KR&fs=1&border=1" type="application/x-shockwave-flash" allowscriptaccess="always" allowfullscreen="true" width="445" height="364"></embed></object>



이것이 바로 카뮈를 “새로운 철학자 Camus, le nouveau philosophe”[1970년대 중후반 맑시즘을 전체주의와 동일시하면서 프랑스에서 단숨에 “떴던” 일군의 미디어 지식인들, 즉 베르나르-앙리 레비와 앙드레 글뤽스만 일파에게 붙여졌던 이 칭호가 카뮈에게 다시 붙여졌다는 것 역시 매우 징후적인 대목이 아닐 수 없다]로 지목하며 옹호한 글이 다음과 같은 문장으로 끝나는 이유이다.



“이데올로기의 종언과 함께...카뮈는 승리했다. 이 혼돈 가운데에서 그것도 K.O.로. 그가 주장했던 “겸손한” 사유(la pensee modeste)는 모든 도그마에 대한 백신으로 남은 것이다.”


뚜렷한 희망 없이 새롭게 한 해를 시작해야만 하는- 도대체 누구인지 모를- “우리”들에게 남겨진 과제, 그것은 “반항”이라는 외피까지 뒤집어 쓴 채 자신을 궁극적인 대안의 최대치로 치켜세우는 “겸손한 사유”란 개념의 ‘오만’을 꿰뚫어보는 것을 넘어, 그것의 대립항으로 설정된 “광기의 혁명”이라는 양자택일 ‘사이’에 난, 혹은 아직 보이지 않는 작은 길, 혹은 실처럼 얇지만 그 밑에 무저갱의 잠재력을 숨기고 있는 크레바스(crevice)를 알아보는 것일지도 모른다.




출처 : 비평고원(Critical Plateaux)
글쓴이 : ahjabie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