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신라(新羅)가 서울이었을 때 세규사(世逵寺)―지금의 흥교사(興敎寺)―의 장원(莊園)
이 명주(溟洲) 날리군(捺李郡)―지리지(地理志)를 상고해 보면, 명주에는 날리군(捺李郡)
이 없고 오직 날성군(捺城郡)이 있을 뿐이다. 이것은 본래 날생군(捺生郡)이니 지금의 영
월(寧越)이다. 또 우수주(牛首州) 영현(領懸)에 날영군(捺靈郡)이 있는데 본래는 날이군
(捺已郡)이요 지금의 강주(剛州)다. 우수주(牛首州)는 지금의 춘주(春州)니 여기에 말한
날리군(捺李郡)은 어느 곳인지 알수가 없다. ―에 있었는데, 본사(本寺)에서 중 조신(調
信)을 보내서 장원(莊園)을 맡아 관리하게 했다. 조신이 장원에 와서 태수 김흔(金昕)의
딸을 좋아하고 아주 반했다.
여러 번 낙산사(洛山寺) 관음보살(觀音菩薩) 앞에 가서 남몰래 그 여인과 살게 해 달라고
빌었다. 이로부터 몇 해 동안에 그 여인에게는 이미 배필이 생겼다. 그는 또 불당(佛堂)
앞에 가서, 관음보살이 자기의 소원을 들어 주지 않는다고 원망하며 날이 저물도록 슬피 울
다가 생각하는 마음에 지쳐서 잠시 잠이 들었다.
꿈 속에 갑자기 김씨 낭자(娘子)가 기쁜 낯빛을 하고 문으로 들어와 활짝 웃으면서,
"저는 일찍부터 스님을 잠깐 뵙고 알게 되어 마음 속으로 사랑해서 잠시도 잊지 못했으나
부모의 명령에 못 이겨 억지로 딴 사람에게로 시집갔었습니다. 지금 내외(內外)가 되기를
원해서 온 것입니다."
이에 조신은 매우 기뻐하며 그녀와 함께 고향으로 돌아갔다.
그녀와 사십여 년 간 같이 살면서 자녀 다섯을 두었다. 집은 다만 네 벽뿐이고, 좋지 못한
음식마저도 계속해 갈 수가 없었고, 마침내 꼴이 말이 아니어서 식구들을 이끌고 사방으로
다니면서 얻어먹고 지냈다. 이렇게 십 년 동안 초야(草野)로 두루 다니니 옷은 여러 조각
으로 찢어져 몸도 가릴 수가 없었다. 마침 명주(溟洲) 해현령(蟹縣嶺)을 지날 때 십오 세
되는 큰아이가 갑자기 굶어 죽어 통곡하면서 길가에 묻었다. 남은 네 식구를 데리고 그들
내외는 우곡현(羽曲懸)―지금의 우현(羽懸)―에 이르러 길가에 모옥(茅屋)을 짓고 살았다.
이제 내외는 늙고 병들었다. 게다가 굶주려서 일어나지도 못하니, 십 세 된 계집아이가 밥
을 빌어다 먹는데, 다니다가 마을 개에게 물렸다. 아픈 것을 부르짖으면서 앞에 와서 누웠
으니 부모도 목이 메어 눈물을 몇 줄이고 흘렸다.
부인이 눈물을 씻더니 갑자기,
"내가 처음 그대를 만났을 때는 얼굴도 아름답고 나이도 젊었으며 입은 옷도 깨끗했었습니
다. 한 가지 음식도 그대와 나누어 먹었고 옷 한 가지도 그대와 나누어 입어, 집을 나온
지 오십 년 동안에 정(情)은 맺어져 친밀해졌고 사랑도 굳게 얽혔으니 가위 두터운 인연이
라고 하겠습니다. 그러나 근년에 와서는 쇠약한 병이 해마다 더해지고 굶주림과 추위도 날
로 더욱 닥쳐오는데 남의 집 곁방살이나 하찮은 음식조차도 빌어서 얻을 수가 없게 되었으
며, 수많은 문전(門前)에 걸식하는 부끄러움은 산더미보다 더 무겁습니다.
아이들이 추워하고 배고파해도 미처 돌봐주지 못하는데 어느 겨를에 사랑에 있어 부부간의
애정을 즐길 수가 있겠습니까? 젊은 얼굴과 예쁜 웃음도 풀 위의 이슬이요, 지초(芝草)와
난초 같은 약속도 바람에 나부끼는 버들가지 같을 뿐입니다. 이제 그대는 내가 있어서 누
(累)가 되고 나는 그대 때문에 더 근심이 됩니다. 가만히 옛날 기쁘던 일을 생각해 보니,
그것이 바로 근심의 시작이었습니다.
그대와 내가 어찌해서 이런 지경에 이르렀습니까? 뭇 새가 다 함께 굶어죽는 것보다는 차라
리 짝 잃은 난조(鸞鳥)가 거울을 향하여 짝을 부르는 것이 낫지 않겠습니까? 순경일 때에
는 친하고 역경일 때에는 버리는 것이 인정(人情)상 차마 할 수 없는 일입니만 가고 머무
는 것이 사람의 뜻대로만 되는 것이 아니요, 헤어지고 만남에는 운명이 있습니다. 바라건대
여기서 서로 헤어지도록 하십시다."
조신이 이 말을 듣고 크게 기뻐하여 각각 아이 둘씩 나누어 데리고 장차 떠나려 하니 여인
이, "나는 고향으로 갈 테니 그대는 남쪽으로 가십시오."
이리하여 서로 작별하고 길을 떠나려 하는데 꿈에서 깨었다.
타다 남은 등잔불은 깜박거리고 밤도 이제 새려고 한다. 아침이 되었다. 수염과 머리털은
모두 희어졌고 망연히 세상 일에 뜻이 없다. 괴롭게 살아가는 것도 이미 싫어졌고 마치 한
평생의 고생을 다 겪고 난 것과 같아 재물을 탐하는 마음도 얼음 녹듯이 깨끗이 없어졌다.
이에 관음보살의 상(像)을 대하기가 부끄러워지고 잘못을 뉘우치는 마음을 참을 길이 없다.
그는 돌아와서 해현에 묻은 아이를 파보니 그것은 바로 돌미륵(石彌勒)이다. 물로 씻어서
근처에 있는 절에 모시고 서울로 돌아가 장원을 맡은 책임을 내놓고 사재(私財)를 내서 정
토사(淨土寺)를 세워 부지런히 착한 일을 했다. 그 후에 어디서 세상을 마쳤는지 알 수가
없다.
'읽어보아요 > 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을 읽으며 얻어지는 고마움 12가지.. (0) | 2010.02.13 |
---|---|
** 벨지움 안트베르펜의 성모대성당, 화가 루벤스와 플란다스의 개 ** (0) | 2010.02.12 |
[스크랩] (2010년 1월 26일) 카뮈의 시대?: "겸손한 반항"의 오만을 넘어서 (수정본) (0) | 2010.02.04 |
[스크랩] 과학은 주역을 영원히 풀지 못한다.. (0) | 2010.01.25 |
[스크랩] 행복한 논어읽기 (0) | 2010.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