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 창
중병에 걸린 두 사람이 있었다.
둘은 큰 병원의 같은 병실에 입원했다.
병실은 아주 작았고, 바깥 세상을 내다볼 수 있는 창문이 하나밖에 없었다.
한사람은 치료의 과정으로 오후에 한 시간씩 침대 위에 일어나 앉도록 허락을 받았다.
폐에서 어떤 용액을 받아내기 위해서였다.
그는 침대가 창가에 있었기 때문에 일어나 앉을 때마다 바깥 풍경을 내다볼 수 있었다.
하지만 다른 환자는 하루 종일 침대에 꼼짝없이 누워 있어야만 했다.
매일 오후 정해진 시간이 되면 창가의 환자는 침대에 일어나 앉아 바깥을 내다보았다.
그는 바깥 풍경을 맞은편 환자에게 일일이 설명하면서 시간을 보내곤 했다.
창을 통해 호수가 있는 공원을 내다보이는 모양이었다.
호수에는 오리와 백조들이 떠다니고, 아이들이 와서 모이를 던져 주거나 모형 배를 띄우며 놀고 있었다.
젊은 여인들은 손을 잡고 나무들 아래를 산책하고, 꽃과 식물들이 주위에 많았다.
이따금 공놀이가 벌어지기도 했다.
그리고 나무들 너머 저편으로 도시의 스카이라인이 선명하게 보이기도 하는
모양이었다.
누워있는 환자는 창가의 환자의 이 모든 풍경을 설명해 줄 때마다 즐겁게 들었다.
한 아이가 어떻게 해서 호수에 빠질 뻔했는지도 듣고, 대단히 매력적인 아가씨들이 여름옷을 입고 활기차게 걸어가는 얘기도 들었다.
창가의 환자가 어찌나 생생히 묘사를 잘 하는지 그는 마치 자신이 지금 바깥 풍경을 내다보고 있는 듯한 착각이 들곤 했다.
그러던 어느 날 오후 한가지 생각이 그를 사로잡았다.
왜 창가에 있는 저 사람만이 특권을 누리고 있는가?
왜 그 사람 혼자서 바깥을 내다보는 즐거움을 독차지하고 있는가?
왜 자신에게는 기회가 돌아오지 않는가?
그는 이런 생각을 하는 자신이 부끄러웠지만 그 생각을 떨쳐 버리려고 노력하면
할수록 점점 더 창가에 있는 환자에게 질투가 났다.
침대 위치를 바꿀 수만 있다면 무슨 일이든 하고 싶었다.
어느 날 밤이었다.
그가 천정을 바라보며 누워있는데 창가의 환자가 갑자기 기침을 하면서 숨을 몰아쉬기 시작했다.
그리고 손을 버둥거리며 간호사 호출 버튼을 찾는 것이었다.
갑자기 병세가 악화된 것이 분명했다.
그는 당연히 그 환자를 도와 비상벨을 눌러 주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가만히 지켜보기만 했다.
그 환자의 숨이 완전히 멎을 때가지도.
아침에 간호사는 창가의 환자가 숨져있는 것을 발견했다.
그리고 조용히 시신을 치웠다.
적절한 시기가 되자 그는 창가 쪽으로 침대를 옮기고 싶다고 간호사에게 요청했다.
병원 직원들이 와서 조심스럽게 그를 들어 창가 쪽 침대로 옮겨 주었다.
그리고 편안히 누울 수 있도록 자리를 매만져 주었다.
직원들이 떠나자마자 그는 안간힘을 다해 침대에서 몸을 일으켰다.
통증이 느꼈지만 팔꿈치를 괴고 간신히 상체를 세울 수 있었다.
그는 얼른 창밖을 내다보았다.
창 밖에는 아무것도 없었다.
맞은편 건물의 회색 담 벽이 가로막고 있을 분이었다.
-마음과 마음에서-
행복은 근사한 말이 아닙니다.
행복은 마음속 깊은 데 숨어 있는 진실이며 행동하는 양심 입니다.
행복은 남에게 나눠 줌으로써 비워지는 것이 아니라 없는 것을 나눔으로써 채워지는 신비로운 것입니다.
베푸는 만큼 행복의 양도 그만큼 많아집니다.
행복은 또 스스로 만족하는 데에 있습니다.
남보다 나은 점에서 행복을 구한다면 영원히 행복하지 못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누구든지 한두 가지 나은 점은 있지만
열 가지 전부가 남보다 뛰어날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행복이란
남과 비교해서 찾을 것이 아니라 스스로 만족할 수 있는 게 중요합니다.
날씨가 풀렸다싶으면 추워지고,
꽃샘이의 심술이 지금까지 이어지지만 오는 봄을 막을 수는 없겠지요.
이미 봄은 손에 닿을 만큼 가까이 와있고 꽃샘추위도 이제 막바지가 아닐까싶습니다.
마음의 창을 활짝 열고,
밝고 건강하게 행복한 한 주일 시작하시길 빕니다.
'카톡카톡 > 2015 보낸 카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0326/안중근의사 어머님의 편지 (0) | 2016.04.07 |
---|---|
150325/이런 친구가 있는가? (0) | 2016.04.07 |
150311/'이매진(Imagine)' (0) | 2016.04.07 |
150306/어느 봄날의 기도 (0) | 2016.04.07 |
150303/3월 / 에밀리 디킨슨 (0) | 2016.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