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한 여행의 시작

기쁨은 사물 안에 있지 않다. 그것은 우리 안에 있다!

金剛山도 息後景 - 풀잎처럼 눕자

카톡카톡/2023 보낸카톡

여민동락(與民同樂). /230921

서까래 2023. 9. 21. 10:03

우리의 땅 외로운 섬 독도

여민동락(與民同樂).

 

군주가 백성들과 함께 마음을 나누고 즐긴다는 뜻이다.

퇴계가 벼슬을 사양하고 고향에 돌아와 제자 들을 양성한다는 소식이

널리 퍼지자, 일찌기 영의정의 벼슬을 지낸 바 있는 쌍취헌 권철이

퇴계를 만나고자 도산서당을 찾아 갔다.

권철은 그 자신이 영의정의 벼슬까지 지낸 사람인데다가 그는

후일 임진왜란 때 행주산성에서 왜적을 크게 격파한

만고 권율 장군의 아버님이기도 하다.

권율 장군은 선조 때의 명재상이었던 이항복의 장인이기도 했다.

 

서울서 예안까지는 550리의 머나먼 길이다.

영의정까지 지낸 사람이 머나먼 길에 일개 사숙의 훈장을 몸소 찾아온다는 것은,

그 당시의 관습으로서는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

그러나 권철은 퇴계를 친히 방문하기로 했던 것.

도산서당에 도착 하자 퇴계는 동구 밖까지 예의를 갖추어 영접하였다.

 

그리하여 두 學者는 기쁜 마음으로 학문을 토론하였다.

거기까지는 좋았다.

그러나 식사 때가 큰 문제였다.

끼니때가 되자 저녁상이 나왔는데,

밥은 보리밥에 반찬은 콩나물국과 가지 잎 무친 것과 산채뿐으로

고기붙이라고는 북어 무친 것 하나가 있을 뿐이 아닌가?

퇴계는 평소에도 제자들과 똑같이 초식 생활만 해 왔었는데,

이 날은 귀한 손님이 오셨기 때문에 구하기 어려운 북어를 구해다가 무쳐 올렸던 것이다.

 

평소에 산해진미만 먹어오던 권철 대감에게는 보리밥과 소찬이 입에 맞을 리가 없었다.

그는 그 밥을 도저히 먹을 수가 없어 몇 숟갈 뜨는 척 하다가 상을 물려버리고 말았다.

그러나 ..

퇴계는 다음날 아침에도 그와 똑같은 음식을 내놓았다.

권철대감은 이날 아침에도 그 밥을 먹어낼 수가 없어서 어제 저녁과

마찬가지로 몇 숟갈 떠먹고 나서 상을 물려버렸다.

주인이 퇴계가 아니라면 투정이라도 했겠지만,

상대가 워낙 스승처럼 존경해 오는 사람이고 보니

음식이 아무리 마땅치 않아도 감히 그런 말이 나오지 않았던 것이다.

사태가 그렇게 되고 보니 권철대감은 도산서당에 며칠 더 묵어가고 싶어도

음식이 입에 맞지 않아 더 묵고 있을 수가 없었다.

그리하여 다음 날은 예정을 앞당겨 부랴부랴 떠날 수밖에 없었는데,

권철 대감은 작별에 앞서 퇴계에게 이런 말을 하였다.

 

"이렇게 만나고 떠나게 되니 매우 고맙소이다.

우리가 만났던 기념으로 좋은 말을 한 말씀만 남겨 주시지요"

"촌부가 대감 전에 무슨 여쭐 말씀이 있겠나이까,

그러나 대감께서 모처럼 말씀하시니 제가 대감에게서 느낀 점을 한 말씀만 여쭙겠습니다"

 

퇴계는 옷깃을 바로 잡은 뒤에 다시 이렇게 말했다.

"대감께서 원로에 누지를 찾아 오셨는데

제가 융숭한 식사대접을 못해드려서 매우 송구스럽습니다.

그러나 제가 대감께 올린 식사는 일반 백성들이 먹는 식사에 비기면

더 할 나위 없는 성찬이었습니다.

백성들이 먹는 음식은 깡보리밥에 된장 하나가 고작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감께서는 그 음식이 입에 맞지 않아

제대로 잡수시지 못하는 것을 보고

저는 이 나라의 장래가 은근히 걱정되옵니다.

무릇 정치의 요체는 여민동락(與民同樂)에 있사온데,

관과 민의 생활이 그처럼 동떨어져 있으면 어느 백성이 관의 정치를 믿고 따르겠습니까?

대감께서는 그 점에 각별히 유의하시기 바랄 뿐이옵니다."

 

그 말은 폐부를 찌르는 듯한 충언이었다.

퇴계가 아니고서는 영의정에게 감히 누구도 말할 수 없는 직간이었다.

권철대감은 그 말을 듣고 얼굴을 붉히며 머리를 수그렸다.

"참으로 선생이 아니고는 누구에게서도 들어볼 수 없는 충고이십니다.

나는 이번 행차에서 깨달은 바가 많아 집에 돌아가거든

선생 말씀을 잊지 않고 실천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능지성인이라고나 할까.

권철 대감은 크게 깨달은 바 있어 퇴계의 충고를 거듭 고마워하였다.

그리고 올라오자 가족들에게 퇴계의 말을 자상하게 전하는 동시에

그날부터 퇴계를 본받아 일상생활을 지극히 검소하게 해 나갔다고 한다.

 

그런데 ..

지금 이 나라의 정치권에는 퇴계 선생처럼 직언을 하는 분도,

권 정승처럼 직언을 받아들일 줄 아는 분도 보이지 않는다.

오직 시정잡배들의 시궁창속 싸움으로 만 보일 뿐이니, 나만 느끼는 불안함인가?

아니면 나라 복이 여기까지인 것인가?

이아침 옛 선현의 아름다운 행적이 더욱 그리운 것은

비단 푹푹 찌는 더위 때문만은 아닌 성 싶다.

 

- 모셔온 글

 

요즘은 세상이 어찌 돌아가는지도 모르고 삽니다.

그러니 사는 게 힘들 수밖에 없지요.

병법에 이르기를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라 했는데

몸담고 사는 세상 돌아가는 꼬락서니가 눈 뜨고 볼 수 없어

외면하고 살다보니

내가 누군지도 모르겠고, 니가 누군지도 모르겠습니다.

 

나라가 뒤로 가건, 거꾸로 가건 너나 잘 하세요라고

얘기할 수도 있겠지만

더불어 사는 세상인데 그게 어디 마음대로 됩니까.

 

저도 여민동락이라는 말을 들어 본적이 있으나

최근에 새로 나온 국어사전에는 그런 단어가 없다고 합니다.

아무짝에도 쓸모가 없는 단어라서 없애버렸다지요.

 

독불장군()”이요

우이독경()”마이동풍()”이라...

참으로 참담하고 암울한 시절입니다.

하지만 그 또한 지나가겠지요.

 

지난번에 다녀온 독도 사진 올려봅니다.

독도는 여건이 허락하면 한번쯤은 다녀와야 할 곳이라는 생각입니다.

다행스럽게 생각하는 것은 택일을 잘 해서 날씨도 기가 막히게 좋았었고,

아직 우리나라 땅일 때 다녀왔다는 점입니다.

이러다가 독도가 언제 일본 땅으로 바뀔지 누가 알겠습니까?

 

괜히 여민동락이라는 글을 보며 교훈을 얻었다기보다는

부아가 치밀어 오르는 아침입니다.

그래도 참고 살아야지요.

국어사전에 여민동락이라는 문구가 다시 실릴 그날을 그리며

오늘 하루도 즐거운 마음으로 파이팅 하시게요^^

 

(음표) 김상희의 코스모스 피어있는 길

https://youtu.be/H3KP8gGwmLA

 

(음표) 서유석의 홀로아리랑

https://youtu.be/RD7Y3zTll_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