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십종수(八十種樹)
박목월 선생의 수필 '씨 뿌리기'에
호주머니에 은행 열매 나 호두를 넣고 다니며,
학교 빈터나 뒷산에 심는 노교수이야기가 나온다.
이유를 묻자, 빈터에 은행나무가 우거지면 좋을 것 같아서 라고 했다.
언제 열매가 달리는 것을 보겠느냐고 웃자
"누가 따면 어떤가? 다 사람들이 얻을 열매인데"하고 대답했다.
여러 해 만에 그 학교를 다시 찾았을 때,
키 만큼 자란 은행나무와 제법 훤칠하게 자란 호두나무를 보았다.
"예순에는 나무를 심지 않는다. (六十不種樹)"라는 말이 있다.
심어봤자 그 열매나 재목은 못 보겠기에 하는 말이다.
송유(宋兪)가 70세 때 고희연(古稀宴)을 했다.
귤열매 선물을 받고, 그 씨를 거두어 심게 했다.
사람들이 속으로 웃었다.
그는 10년 뒤, 귤열매를 먹고도 10년을 더 살다 세상을 떴다.
황흠(黃欽)이 80세에 고향에 물러나 지낼 때 종을 시켜 밤나무를 심게 했다.
이웃 사람이 웃었다.
"연세가 여든이 넘으셨는데, 너무 늦은 것이 아닐까요?"
황흠이 대답했다.
"심심해서 그런 걸세!
자손에게 남겨 준대도 나쁠 건 없지 않은가?"
10년 뒤에도 황흠은 건강했고, 그때 심은 밤나무에 밤송이가 달렸다.
이웃을 불러 말했다.
"자네 이 밤 맛 좀 보게나!
후손을 위해 한 일이 날 위한 것이 되어 버렸군..."
홍언필(洪彦弼)의 아내가 평양에 세 번 갔다.
어려서 평양감사였던 아버지 송질(宋질)을 따라 갔고,
두 번째는 남편을 따라갔으며, 세 번째는 아들 홍섬(洪暹)을 따라갔다.
자식으로 처음 갔을 때 장난삼아 감영에 배를 심었고,
아내로 두 번째 갔을 때는 그 열매를 따 먹었다.
세 번째 할미로 갔을 때는 재목으로 베어, 다리를 만들어 놓고 돌아왔다.
-세 이야기모두 '송천 팔담(松泉筆譚)'에나온다.
너무 늦은 때는 없다. 일흔만 넘으면 노인 행세를 하며,
공부도 놓고 일도 안 하며 그럭저럭 살다 죽을 날만 기다린다.
100세 시대에 이런 조로(早老)는 좀 너무하지 않은가?
씨를 뿌리면 나무는 자란다. 설사 내가 그 열매를 못 딴들 어떠랴!
지금 시작하라, 나이는 없다!!
- 모셔온 글 -
지겨웠던 여름도 그냥 물러가기가 머쓱해서인지
연일 비를 뿌립니다.
비 덕분이건 비 때문이건
일단 더위가 물러간다는 건 반길 일입니다.
사실 비가 내린다고 하루아침에 가을이 다가오진 않겠지만
머잖아 선선한 가을바람이 불어오고
들판은 황금빛으로 변해가고,
온 대지는 오색 찬연한 단풍으로 물들겠지요.
가을은 풍성한 수확의 계절이라지만
어떤 누군가는 봄을 준비하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누구나 그럴 수는 없겠지요.
우선은 다가올 가을을 그려야하지 않을까요.
가을로 가는 길목에서 비가 내리지만,
잠시 비가 그친 후의 후텁지근함은 한 여름을 방불케 합니다.
허나 어차피 이제 8월이 가고 9월이 오면
알게 모르게 가을이 발밑으로 다가와 있겠지요.
지나가는 여름과 다가오는 가을이 교차하는 계절의 길목에서
혹독했던 지난 여름을 추억하고
아름다운 가을날을 꿈꾸며
행복하고 알찬 하루 보내시길 빕니다^^
(음표) 최헌의 “가을비 우산속”
(음표) 리차드 클레이더만의 “가을의 속삭임”
'카톡카톡 > 2023 보낸카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렴/백창우 /230831 (0) | 2023.08.31 |
---|---|
어른이란/230830 (0) | 2023.08.30 |
소크라테스의 천국/230825 (0) | 2023.08.25 |
처서(處暑)/문태준/230823 (0) | 2023.08.23 |
인생살이의 네 가지 소중한 지혜 /220622 (2) | 2023.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