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대 아버지들은~!!
지금 온통 어머니만 있고
아버지는 없는 세상인 듯 합니다
다들 세상에서 우리 엄마만큼 고생한 사람 없다며
우리 엄마,, 우리 엄마,, 합니다..
그러는 동안 아버지인 당신은 무얼 하셨습니까,,?
아버지,,
묵묵히 집안에 울이 되고 담이 되셨겠지요..
그저 새벽같이 일터로 나가 추우나 더우나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아랑곳 않고,,
윗사람 눈치 보며,,
아랫사람에게 치 밀리면서 오로지 먹이고 입히고
공부시키는 일에 일생을 다 바치셨겠지요..
내 논에 물 들어가는 것과
내 새끼 입에 밥 들어가는 것이 흐믓하고
마누라 치장 시키는 재미에 내 한 몸 부서지는
것은 생각 않고 열심히 일만 하셨겠지요..
옛날엔 그래도 월급날 되면
돈 봉투라도 받아들고 마누라 앞에
턱 내어 놓으며 폼이라도 잡으며 위세를 떨었건만 ..
이마저도 이젠 그나마도 통장으로
깡그리 입급이 되어 죽자고 일만 했지 ..
돈은 구경도 못해보고 마누라에게
주급으로 받는 용돈이 부족하여
용돈 올려 달라 갖은 애교 다 떱니다..
세탁기에 빨래 꺼내 너는 일도 청소기 돌리는 일도
쓰레기 분리수거, 날 맞춰 버려야 하는 일도,
다 아버지 당신의 몫 입니다..
가만히 생각해 보면
아버지들이 참으로 불쌍합니다..
결혼하여 아버지,, 당신을 위해선 돈도,,
시간도 투자한 적이 없는 것 같습니다..
어머니들처럼 화장을 하는 것도 아니고,,
옷을 사치스럽게 사 입는 것도 아니고,,
오로지 직장이나 일터만 오가셨습니다..
어느 날 부터는 집안만 지키는
아버지를 어머닌 삼식이라며 힘들어 합니다..
그러면 딸들은 아버지! 엄마 힘들게 하지 말고
여행도 다니시고 그러지만 ..
여행도,, 노는 것도, 젊어 습관이 되어야지 ..
집 나와 봐야 갈 곳도 없이
공원만 어슬렁거리게 되었습니다 ..
그럴 바엔 차라리
마누라 눈치 밥 이지만 주는 밥 먹고
집안에 들어앉는 것이 훨씬 마음이 편합니다..
아무리 시대의 흐름이라지만 마음이 아픕니다..
아버지,, 이제라도 당신을 위해서 사십시요..
<詩庭박 태훈의 해학이 있는 아침 중에서>
이번에 혜민 스님이 새로 출간한 “완벽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사랑”이라는 책이 4주 연속 베스트셀러 1위에 올랐다는데 그 내용의 일부를 간단히 소개하면 이렇습니다.
'힐링 멘토'로 불리는 혜민스님이 새 책에서 제일 첫머리에 내세운 메시지는 뜻밖에 '너무 착하게만 살지는 말자'다.
"사람들이 착하게, 남을 배려하면서 살아야 한다고 생각하면서 정작 자신은 돌보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요.
저 역시 그렇고요. 오래도록 남을 도와주려면 우선 나부터 아끼고 사랑해야 하지 않을까요? 비행기에서도 위급 상황에선 자신이 먼저 산소마스크를 쓰고 다른 사람을 씌워주라고 하잖아요."
책 제목은 혜민 스님이 스스로에게 던지는 일종의 독백이기도 하다.
"저 역시 전혀 완벽하지 못하거든요.
말하고 글 쓰는 것에 비해 행동은 항상 뒤처지고 있어요.
부끄럽지요.
그렇지만 부족하고 완벽하지 못한 저를 데리고 살아야 하는 것이 인생이잖아요.
그래서 부족한 저 스스로에게 자비로운 시선을 먼저 갖자는 것이지요."
...............
이 땅에 사는 부모들에게 지워진 건 끊임없는 희생정신이다.
하지만 평생 희생만 하며 살고 싶은 사람이 얼마나 있겠는가?
결국은 주어진 열악한 환경에서 해야 할 역할에 충실하다보니, 정작 자기 자신을 돌보지 못하고 살아온 게 우리의 현실이고, 아마도 그대로 대물림될지도 모른다.
허나 아무리 여유가 없어도 자기 자신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존재하기 마련일 것이다.
어쩌면 나이 들어가는 우리가 스스로에게 던져보아야 할 가장 중요한 화두일지도 모른다.
그런데 이 화두를 오래 붙들고 머리 싸맬 틈도 없이 또 앞을 보고 달린다.
그것이 오늘을 사는 우리들의 참 모습이다.
지금도 앞만 바라보며 열심히 달린다.
그러나 달리면서 잠시 주변도 둘러보고, 거울에 비친 내 모습도 바라보며 살자.
나라는 존재는 우주의 미세먼지보다도 작은 존재겠지만,
내게는 우주보다도 내가 더 중요하고, 내가 없는 우주란 의미가 없을 테니까?
오늘부터 고민해보자!
“자신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지를......”
벌써 한주가 가고, 이월도 서서히 종말을 고해 간다.
이월이 가고나면 꽃 피고 새 우는 춘삼월이 올터이니, 세월이 간다고 굳이 슬퍼하지는 말자.
어쩌면 삼월은 꿈의 계절이요, 새 희망의 계절일 것이다.
벌써부터 고민이 된다.
삼월이 오면 나를 위해 무엇을 해야 할런지~~~
징검다리 연휴 알차고 행복하게 보내시길 빌며......
“파파” - 권태수
https://youtu.be/_HFaGsm3d_g
“내 하나의 사람은 가고” - 임희숙
https://youtu.be/2-6SgOOCp2k
'카톡카톡 > 2016 보낸 카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0301/만주벌의 이름 없는 독립지사들 (0) | 2016.04.01 |
---|---|
160229/사랑하면 얼굴도 바뀝니다 (0) | 2016.04.01 |
160225/잠시 쉬어가시지요^^ (0) | 2016.04.01 |
160224/너에게 나는 그런 사람이고 싶다 (0) | 2016.04.01 |
160224/내 마음에도 봄이 오면 (0) | 2016.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