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한 여행의 시작

기쁨은 사물 안에 있지 않다. 그것은 우리 안에 있다!

金剛山도 息後景 - 풀잎처럼 눕자

카톡카톡/2015 보낸 카톡

151117/“낙엽을 태우면서”를 읽으며 느껴보는 단상...

서까래 2016. 4. 8. 14:26

낙엽을 태우면서를 읽으며 느껴보는 단상...

 

나이가 들면서 스스로가 많이 유치해진다는 생각이 들 때가 많다.

나이가 드는 것은 몸이 나이가 드는 것일 뿐,

생각이나 사상이 노숙해지고 깊어지는 것도 아니면서

이목이 있고 사회적 체통이 있어 실제로는 젊으면서도

젊잖게, 아니 점잖은 척하고 살아간다.

 

낙엽을 태우면서란 수필은 소시적 고등학교 교과서에 실렸(요즘은 어쩐지 모르겠지만...)던 수필로 아마 대부분 몇 번씩은 읽어 보았을 것이다.

글의 내용이 가을의 운치를 듬뿍 느낄 수 있게 해, 굳이 읽지 않더라도 가을이면 몇 구절쯤은 생각나는 글이다.

 

워낙 좋은 글이고 공감이 가는 내용들이라서 버릴 거라고는 없는 글이지만,

앞부분에서는 가을의 정취를 느끼고, 뒷부분에 가서는 세월을 느끼게 된다.

그리고 세월이 갈수록 뒷부분의 문구에 더 주목하게 되는 건 아마도 내 나이도 적지 아니,

점잖은, 아니 점잖아야 할 나이가 되었기 때문일지 모른다.

나이가 들면 최소한 점잖은 척하고 살아야 할 것이다.

누구나 다 그렇게 살아가니까.

하지만 주위의 이목이 없다면 어린애처럼 천진하게 살아볼 일이다.

 

어린애처럼 살 수 없다면 때로는 어린애처럼 생각하며 살아보면 어떨까?

 

가을이 독서의 계절이라고 하지만, 언제부턴가 일년 내내 책 한권도 읽지 않고 살아가는 게 현실이다.

사람의 눈도 늙기도 하지만 생활에 적응해 가는 모양이다.

컴퓨터는 하루 종일 들여다 보며 작업을 해도 눈의 피로를 느끼지 못 하는데, 책속의 작은 글씨나 스마트폰은 잠시만 들여다봐도 금방 침침해지고 별들이 마구 돌아다닌다.

 

하지만 어이하랴.

맞추어가며 사는 게지~~~

 

시간 날 때 다시 한번 읽고 지나가시라^^

 

박인희의 모닥불

https://youtu.be/zCwITkMJIs4

........................

낙엽을 태우면서/이효석

 

가을이 깊어지면, 나는 거의 매일 뜰의 낙엽을 긁어모으지 않으면 안 된다. 날마다 하는 일이건만, 낙엽은 어느 새 날아 떨어져서, 또 다시 쌓이는 것이다. 낙엽이란 참으로 이 세상의 사람의 수효보다도 많은가 보다. 삼십여 평에 차지 못하는 뜰이건만 날마다의 시중이 조련치 않다. 벚나무, 능금나무 제일 귀찮은 것이 담쟁이이다. 담쟁이란 여름 한철 벽을 온통 둘러싸고, 지붕과 굴뚝의 붉은 빛만 남기고, 집안을 통째로 초록의 세상으로 변해줄 때가 아름다운 것이지, 잎을 다 떨어뜨리고 앙상하게 드러난 벽에 메마른 줄기를 그물같이 둘러칠 때쯤에는, 벌써 다시 거들떠볼 값조차 없는 것이다. 귀찮은 것이 그 낙엽이다. 가령, 벚나무 잎같이 신선하게 단풍이 드는 것도 아니요, 처음부터 칙칙한 색으로 물들어, 재치 없는 그 넓은 잎은 지름길 위에 떨어져 비라도 맞고 나면, 지저분하게 흙 속에 묻히는 까닭에, 아무래도 날아 떨어지는 족족 그 뒷시중을 해야 한다.

벚나무 아래에 긁어모은 낙엽의 산더미를 모으고 불을 붙이면, 속엣 것부터 푸슥푸슥 타기 시작해서, 가는 연기가 피어오르고, 바람이나 없는 날이면, 그 연기가 낮게 드리워서, 어느덧 뜰 안에 자욱해진다. 낙엽 타는 냄새같이 좋은 것이 있을까? 갓 볶아 낸 커피의 냄새가 난다. 잘 익은 개암 냄새가 난다. 갈퀴를 손에 들고는 어느 때까지든지 연기 속에 우뚝 서서, 타서 흩어지는 낙엽의 산더미를 바라보며 향기로운 냄새를 맡고 있노라면, 별안간 맹렬한 생활의 의욕을 느끼게 된다. 연기는 몸에 배서 어느 결 엔지 옷자락과 손등에서도 냄새가 나게 된다.

 

나는 그 냄새를 한없이 사랑하게면서 즐거운 생활감에 잠겨서는, 새삼스럽게 생활의 제목을 진귀한 것으로 머리 속에 띄운다. 음영과 윤택과 색채가 빈곤해지고, 초록이 전혀 그 자취를 감추어 버린, 꿈을 잃은 허전한 뜰 한 복판에 서서, 꿈의 껍질인 낙엽을 태우면서 오로지 생활의 상념에 잠기는 것이다. 가난한 벌거숭이의 뜰은 벌써 꿈을 꾸기에는 적당하지 않은 탓일까? 화려한 초록의 기억은 참으로 멀리 까마득하게 사라져 버렸다. 벌써 추억에 잠기고 감상에 젖어서는 안 된다.

 

가을이다! 가을은 생활의 계절이다. 나는 화단의 뒷자리에를 깊게 파고, 다 타 버린 낙엽의 재를 죽어 버린 꿈의 시체를 땅 속에 깊이 파묻고, 엄연한 생활의 자세로 돌아서지 않으면 안 된다. 이야기 속의 소년같이 용감해지지 않으면 안 된다.

 

전에 없이 손수 목욕물을 긷고, 혼자 불을 지피게 되는 것도, 물론 이런 감격에서부터다. 호스로 목욕통에 물을 대는 것도 즐겁거니와, 고생스럽게, 눈물을 흘리면서 조그만 아궁이에 나무를 태우는 것도 기쁘다. 어두컴컴한 부엌에 웅크리고 앉아서, 새빨갛게 피어오르는 불꽃을 어린아이의 감동을 가지고 바라본다. 어둠을 배경으로 하고 새빨갛게 타오르는 불은, 그 무슨 신성하고 신령스런 물건 같다.

 

얼굴을 붉게 태우면서 긴장된 자세로 웅크리고 있는 내 꼴은, 흡사 그 귀중한 선물을 프로메테우스에게서 막 받았을 때, 태곳적 원시의 그것과 같을는지 모른다.

 

나는 새삼스럽게 마음속으로 불의 덕을 찬미하면서, 신화 속의 영웅에게 감사의 마음을 바친다.

 

좀 있으면 목욕실에는 자욱하게 김이 오른다. 안개 깊은 바다의 복판에 잠겼다는 듯이 동화 감정으로 마음을 장식하면서, 목욕물 속에 전신을 깊숙이 잠글 때, 바로 천국에 있는 듯한 느낌이 난다. 지상 천국은 별다른 곳이 아니라, 늘 들어가는 집 안의 목욕실이 바로 그것인 것이다. 사람은 물에서 나서 결국 물속에서 천국을 구하는 것이 아닐까?

물과 불과 이 두 가지 속에 생활은 요약된다. 시절의 의욕이 가장 강렬하게 나타나는 것은 이 두 가지에 있어서다. 어느 시절이나 다 같은 것이기는 하나, 가을부터의 절기가 가장 생활적인 까닭은 무엇보다도 이 두 가지의 원소의 즐거운 인상 위에 서기 때문이다. 난로는 새빨갛게 타야하고, 화로의 숯불은 이글이글 피어야 하고, 주전자의 물을 펄펄 끓어야 된다.

 

백화점 아래층에서 커피의 알을 찧어 가지고는 그대로 가방 속에 넣어 가지고, 전차 속에서 진한 향기를 맡으면서 집으로 돌아온다. 그러는 내 모양을 어린애답다고 생각하면서, 그 생각을 또 즐기면서 이것이 생활이라고 느끼는 것이다. 싸늘한 넓은 방에서 차를 마시면서, 그제까지 생각하는 것이 생활의 생각이다. 벌써 쓸모 적어진 침대에는 더운 물통을 여러 개 넣을 궁리를 하고, 방구석에는 올 겨울에도 또 크리스마스트리를 세우고 색 전등으로 장식할 것을 생각하고, 눈이 오면 스키를 시작해 볼까 하고 계획도 해보곤 한다. 이런 공연한 생각을 할 때만은 근심과 걱정도 어디론지 사라져 버린다. 책과 씨름하고, 원고지 앞에서 궁싯거리든 그 같은 서재에서, 개운한 마음으로 이런 생각에 잠기는 것은 참으로 유쾌한 일이다.

 

책상 앞에 붙은 채, 별일 없으면서도 쉴 새 없이 궁싯거리고, 생각하고, 괴로워하면서, 생활의 일이라면 촌음을 아끼고, 가령 뜰을 정리하는 것도 소비적이니, 비생산적이나 하고 멸시하던 것이, 도리어 그런 생활적 사사(작은 일)에 창조적, 생산적인 뜻을 발견하게 된 것은 대체 무슨 까닭일까?

 

시절의 탓일까? 깊어 가는 가을, 이 벌거숭이의 뜰이 한층 산 보람을 느끼게 하는 탓일까?